[카테고리:] 소비자용 정보

쇠고기 고르는법, 등급 판정, 한우 소비 문화

  • 한우 한 마리 팔면 얼마 남을까? 직접 계산해봤습니다.

    송아지 사서 비육하는 농가 기준 수익 분석

    한우 사육을 시작하면 가장 궁금한 질문 중 하나가 있습니다.
    “한우 한 마리 키워서 팔면 실제로 얼마나 남을까?”

    오늘은 수송아지를 구매해 비육하는 농가 기준으로
    실제 비용과 수익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 일관사육(송아지 직접 생산)은 더 복잡해서 다음 번에 다시 다룰게요.
    이번 글은 수송아지 구매 농가 → 비육 → 출하 기준입니다.


    한우 사육 기본 과정 요약

    한우 비육 농가는 보통 이렇게 운영됩니다.

    1. 송아지 구매(6~7개월령, 우시장 구매)
    2. 거세 진행(보통 지역 축협에서 공짜로 해주는 경우가 많음)
    3. 30~32개월령까지 비육 후 판매
    우시장경매 한우 우시장 전자경매
    한우 우시장에서 경매 대기하고 있는 소들

    즉, 사육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은 송아지 입식비 + 사료비입니다.


    한우 송아지 가격 (전국 평균 기준)

    최근 기준으로 전국 평균 송아지 가격은 아래와 비슷합니다.

    • 수송아지 평균:450만원
    • 암송아지 평균:330만원
      (가격은 시장 상황 따라 변동)

    한우 사료 비용은 얼마나 들까?

    저희 농장 기준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TMF(지대 사료) 이용
    • 한우 한 마리 비육 시 약 10톤 섭취
    • kg당 약 430원 적용

    즉, 사료 비용은:

    10,000kg × 430원 ≈ 4,300,000원 (약 430만원)
    

    기타 비용

    한우 사육엔 사료 외에도 다양한 비용이 들어갑니다.

    항목금액(예시)
    약품 및 백신약 0만원
    톱밥 등 일부 보조약 0만원
    전기·수도·소모품약 0만원
    관리비(노동·장비 감가 등)약 0만원

    대략 20만원으로 계산하겠습니다. 농가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분이고 계산이 까다롭습니다.


    한우 한 마리 원가 계산

    구분비용
    송아지 구입약 450만원
    사료비약 430만원
    기타 비용약 20만원
    총 비용약 900만원

    즉, 비육 농가가 한우 한 마리를 출하할 때 비용 약 900만원이 듭니다.


    도축 후 판매 가격(도매)

    최근 한우 도매 가격 평균은 약 kg당 20,000원 수준입니다.

    만약 출하 시 도체중이 500kg 나온다고 가정하면:

    500kg × 20,000원 = 10,000,000원 (약 1,000만원)
    

    실제 수익(마진)

    항목금액
    판매금액약 1,000만원
    총 비용약 900만원
    예상 마진약 100만원

    즉, 한우 1마리당 약 100만원 정도 남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등급/출하중량/사료 선택/시장 가격에 따라 크게 좌우)


    한우 수익성 팁

    초보 농가라면 아래 포인트가 중요합니다.

    ✅ 송아지 비싸게 사지 않기
    (급한 마음에 우시장에서 너무 높게 응찰할수 있음)
    ✅ 송아지 철저히 관리하기
    (입식 후 스트레스로 인해 열이 날 수 있음)
    ✅ 육질 등급(1+, 1++) 높이기
    (이건 사양관리가 매우 중요)
    ✅ 질병·폐사 리스크 줄이기
    (한마리라도 폐사하게 된다면 수익성에 문제가 생김)

    작은 차이가 출하할 때 수백만원 차이가 됩니다.


    한우 농가 자주 묻는 질문(FAQ)

    Q. 무조건 마진이 보장되나요?

    아닙니다.
    송아지값 상승·사료비 증가·등급 저조·질병 문제 시 적자가 날 수 있습니다.

    Q. 두수가 증가하면 수익이 더 늘까요?

    규모가 커질수록 고정비가 줄어 유리합니다.
    그에 따른 관리를 철저히 해야겠죠?

    Q. 일관사육이 더 유리한가요?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번식우 초보일 경우 송아지 폐사로 인해 송아지 생산비가 더 들어갈 수있습니다.

    다른 글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마무리: 한우 한 마리, 정말 얼마 남을까?

    정리하자면,

    송아지 구매 농가 기준 한우 1마리 수익 약 100만원 내외

    물론 시세와 사육능력에 따라
    마진은 0~500만원 이상까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 일관사육 한우 수익 분석(번식 + 비육) 를 상세히 다뤄볼게요.

    농업 정보, 한우 사육 현실, 초보 농가 가이드 계속 올립니다.
    댓글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 소비자가 착각하는 ‘1등급 한우의 진실’ — “이미 대부분 1등급 이상이다”

    “요즘은 2등급이 더 귀합니다

    꾸석지 돌판한우 메뉴판 사진 100% 1등급 한우
    꾸석지 돌판한우 메뉴판

    요즘 1등급 이상 한우를 싸게 판다는 홍보 문구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뿐 아니라 요즘 장사가 아주 잘 되고 있는 “88도매장”, “꾸석지 돌판한우”, 등 가성비 한우 프렌차이즈에서 “100% 1등급이상 한우” 같은 메시지가 소비자에게 “1등급이면 엄청 좋은 한우구나”라는 인식을 심어줍니다.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 한우 통계를 보면, 1등급 이상 한우는 아주 흔한 수준입니다.

    • 최근 자료에 따르면 한우의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약 79.4%로 집계되었습니다.
    • 특히 거세우(고기용으로 쓰이는 수컷)의 경우는 92.6%가 1등급 이상이라는 통계도 있습니다.
      즉, “1등급이면 특별하다”는 인식은 현실과 다르고, 대부분의 도축된 한우가 이미 1등급 이상이라는 뜻입니다.

    🥩 한우 등급체계 간단 정리

    한우 등급은 근내지방도(BMS No.) 등에 의해 나뉩니다.

    한우 근내지방도에 따른 등급기준 정리 표
    한우 근내지방도에 따른 등급기준 정리표
    • 1등급 : 근내지방도가 4~5 수준
    • 1+등급: 근내지방도가 6 수준
    • 1++등급: 근내지방도 7~9 수준
      근내지방도는 높을수록 좋은 등급이며, 등급이 높을수록 근육 사이에 마블링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 소비자는 잘 모르겠지만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여기서 9-1, 9-2, 9-3처럼 더 미세한 단계가 존재하고,
      “9-3” 등급은 고기에 미세 마블링이 눈꽃처럼 가득한 육질이 최상급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내용은 한우 사육 농가들만이 알고 있는 고급정보입니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1등급 한우 = 최고급”이라는 판단만으로 구매하면 등급별 품질의 차이를 잘 모르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 왜 ‘1등급’이 흔해졌을까?

    사육 기술이 발달하면서 비육용(고기용)소가 대부분 근내지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2등급, 3등급이 나오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2등급이 나오기가 더 어려워졌고,
    대부분의 고기용 한우는 1등급 이상으로 판정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1등급 이상”이라는 문구만 보고서 최상급의 한우라고 판단하시면 곤란합니다.


    ✅ 소비자 입장에서 꼭 확인해야 할 것

    요즘 마트나 정육점, 프랜차이즈에서 “1등급 이상 한우”라는 문구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국내에서 도축되는 한우의 대부분이 이미 1등급 이상이에요.
    즉, 그 말만으로는 특별한 품질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물론 등급표 자체도 중요합니다.
    기호에 따라 1+, 1++ 등급의 고기를 선호할 수 있고,
    근내지방도(마블링)에 따라 육질 차이가 확실히 존재하니까요.
    하지만 등급만 보고 판단하기보다는,
    ‘등급표 + 축산물 이력번호’ 두 가지를 함께 보는 게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홍천한우 소고기 라벨사진 이력제 표기되어있음
    이력제 번호가 써있는 소고기 라벨

    출처: 네이버 블로그(홍천한우)


    한우 포장지에는 모두 ‘축산물 이력제 번호(12자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번호를 “축산물 이력제 공식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그 소의 출생일, 사육지, 도축일자, 도체중량, 등급, 출하 월령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쇠고기이력제 조회로 실제 도축 정보까지 확인해 보는 재미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