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우시장

  • 오늘 한우 암송아지 5마리 우시장 판매 후기ㅣ송아지가격 하락?

    송아지 가격 흐름 & 앞으로의 사육 계획

    오늘 우리 농장에서 키운 암송아지 5마리를 우시장에 출하했습니다.
    요즘은 가축시장 어플을 통해 경매관전을 할 수 있어요. 실시간으로 얼마에 낙찰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죠.

    우시장 전자경매 시스템 한우 가축시장 요즘 모습
    가축시장 어플 경매관전 화면

    저도 오늘은 경매관전을 통해 낙찰가를 확인했는데, 조마조마 하더라구요.ㅎ
    최근 송아지 시세가 오르락 내리락하는 중이라 기대 반, 걱정 반이었는데요.
    전체적인 결과는 약간 아쉽지만 적당한 수준으로 받은 것 같아요.
    가장 적게 받은 송아지 한마리가 다리가 좀 짧긴 했어요.


    ✅ 오늘 판매한 송아지 판매 내역

    번호개월령성별낙찰가
    17개월2,470,000원
    27개월 22일3,250,000원
    37개월 26일3,320,000원
    48개월 4일3,040,000원
    58개월 19일3,320,000원

    총 판매금액: 15,400,000원(수수료와 소차 가격은 별도로 내야해요)

    7개월령 송아지는 예정가 자체가 180만원으로 너무 낮게 나와서 낙찰가도 적게 받게 되었습니다.
    조금 아쉬웠지만, 나머지 송아지들은 평균 수준 가까이 받아낸 편이었습니다.


    📉 최근 한우 송아지 시세 흐름

    최근 며칠 사이 전국 평균 송아지 가격이 살짝 내려온 느낌입니다.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송아지값이 아주 좋은 상황이에요.


    😅 솔직 후기: 팔기 싫은데… 공간이 없다

    이번 송아지들은 사실 팔고 싶지 않았던 송아지들이에요.
    하지만 사육 공간이 한계가 있다 보니
    그나마 덜 좋은 개체 위주로 출하했습니다.

    농장 운영을 하다 보면
    “키우고 싶은 마음”과 “현실적인 공간과 사육 문제”가 항상 부딪히죠.


    🎯 앞으로는 우시장 출하 없이 직접 키운다

    이번 출하를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우시장 출하 없이 직접 키워서 출하하는 방향으로 가보려 합니다.

    “직접 사육해서 더 큰 수익을 내보자”
    “축사 회전율을 높여 사육 공간을 확보하자”

    이 마음으로 결정했어요.

    공간은 부족하지만,
    번식우 분만 시기 관리 + 공간 효율화
    최대한 꽉 차게 운영할 계획입니다.


    📝 오늘의 결론

    • 오늘 판매가: 총 1,540만원/5두
    • 예상보다 조금 아쉬웠지만 무난한 결과
    • 최근 송아지 가격 소폭 하락 분위기
    • 앞으로는 우시장 출하 대신 직접 비육 계획
    • 농장 공간을 스마트하게 활용 예정

    한우 사육은 늘 고민과 선택의 연속입니다.
    하지만 한 마리 한 마리 키워내는 과정에서 얻는 성취감이 큽니다.

    앞으로도 농장 운영기, 사료 급여 팁, 수익 분석 등
    실제 현장 기반 정보 계속 공유하겠습니다.

    ✅ 다음 글 예고:
    일관사육(번식+비육) 경제성 분석 & 시설 운영 팁

    함께 성장하는 농가가 되길 바라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농축산 콘텐츠 계속 올릴게요 🙌
    댓글 환영합니다!

  • 한우 한 마리 팔면 얼마 남을까? 직접 계산해봤습니다.

    송아지 사서 비육하는 농가 기준 수익 분석

    한우 사육을 시작하면 가장 궁금한 질문 중 하나가 있습니다.
    “한우 한 마리 키워서 팔면 실제로 얼마나 남을까?”

    오늘은 수송아지를 구매해 비육하는 농가 기준으로
    실제 비용과 수익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 일관사육(송아지 직접 생산)은 더 복잡해서 다음 번에 다시 다룰게요.
    이번 글은 수송아지 구매 농가 → 비육 → 출하 기준입니다.


    한우 사육 기본 과정 요약

    한우 비육 농가는 보통 이렇게 운영됩니다.

    1. 송아지 구매(6~7개월령, 우시장 구매)
    2. 거세 진행(보통 지역 축협에서 공짜로 해주는 경우가 많음)
    3. 30~32개월령까지 비육 후 판매
    우시장경매 한우 우시장 전자경매
    한우 우시장에서 경매 대기하고 있는 소들

    즉, 사육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은 송아지 입식비 + 사료비입니다.


    한우 송아지 가격 (전국 평균 기준)

    최근 기준으로 전국 평균 송아지 가격은 아래와 비슷합니다.

    • 수송아지 평균:450만원
    • 암송아지 평균:330만원
      (가격은 시장 상황 따라 변동)

    한우 사료 비용은 얼마나 들까?

    저희 농장 기준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TMF(지대 사료) 이용
    • 한우 한 마리 비육 시 약 10톤 섭취
    • kg당 약 430원 적용

    즉, 사료 비용은:

    10,000kg × 430원 ≈ 4,300,000원 (약 430만원)
    

    기타 비용

    한우 사육엔 사료 외에도 다양한 비용이 들어갑니다.

    항목금액(예시)
    약품 및 백신약 0만원
    톱밥 등 일부 보조약 0만원
    전기·수도·소모품약 0만원
    관리비(노동·장비 감가 등)약 0만원

    대략 20만원으로 계산하겠습니다. 농가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분이고 계산이 까다롭습니다.


    한우 한 마리 원가 계산

    구분비용
    송아지 구입약 450만원
    사료비약 430만원
    기타 비용약 20만원
    총 비용약 900만원

    즉, 비육 농가가 한우 한 마리를 출하할 때 비용 약 900만원이 듭니다.


    도축 후 판매 가격(도매)

    최근 한우 도매 가격 평균은 약 kg당 20,000원 수준입니다.

    만약 출하 시 도체중이 500kg 나온다고 가정하면:

    500kg × 20,000원 = 10,000,000원 (약 1,000만원)
    

    실제 수익(마진)

    항목금액
    판매금액약 1,000만원
    총 비용약 900만원
    예상 마진약 100만원

    즉, 한우 1마리당 약 100만원 정도 남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등급/출하중량/사료 선택/시장 가격에 따라 크게 좌우)


    한우 수익성 팁

    초보 농가라면 아래 포인트가 중요합니다.

    ✅ 송아지 비싸게 사지 않기
    (급한 마음에 우시장에서 너무 높게 응찰할수 있음)
    ✅ 송아지 철저히 관리하기
    (입식 후 스트레스로 인해 열이 날 수 있음)
    ✅ 육질 등급(1+, 1++) 높이기
    (이건 사양관리가 매우 중요)
    ✅ 질병·폐사 리스크 줄이기
    (한마리라도 폐사하게 된다면 수익성에 문제가 생김)

    작은 차이가 출하할 때 수백만원 차이가 됩니다.


    한우 농가 자주 묻는 질문(FAQ)

    Q. 무조건 마진이 보장되나요?

    아닙니다.
    송아지값 상승·사료비 증가·등급 저조·질병 문제 시 적자가 날 수 있습니다.

    Q. 두수가 증가하면 수익이 더 늘까요?

    규모가 커질수록 고정비가 줄어 유리합니다.
    그에 따른 관리를 철저히 해야겠죠?

    Q. 일관사육이 더 유리한가요?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번식우 초보일 경우 송아지 폐사로 인해 송아지 생산비가 더 들어갈 수있습니다.

    다른 글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마무리: 한우 한 마리, 정말 얼마 남을까?

    정리하자면,

    송아지 구매 농가 기준 한우 1마리 수익 약 100만원 내외

    물론 시세와 사육능력에 따라
    마진은 0~500만원 이상까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 일관사육 한우 수익 분석(번식 + 비육) 를 상세히 다뤄볼게요.

    농업 정보, 한우 사육 현실, 초보 농가 가이드 계속 올립니다.
    댓글과 관심 부탁드립니다!